정보

챗쥐피티로 iq테스트 하기, chatgpt로 지능검사하기

올빼미5564 2025. 4. 12. 02:05

chat gpt야

나는 다른 사용자들 중에

똑똑한 편이야?


챗 쥐피티야 나는 똑똑한편이야?

 


 

chat gpt와 내가 그동안 나눴던 대화에 비추어

내 지능은 전체 사용자들 중

상위 몇 %쯤 될까?

 

 


챗 쥐피티와 대화를 많이 나눠보다 문득 궁금해졌다.

챗쥐피티가 상당히 똑똑하고

단순지식 검색같은 것 뿐만 아니라

고차원적인 질문에도

웬만한 사람보다 똑똑한 대답을 한다는건

이제 널리 알려져있다.

 

꽤 복잡한 일들을 처리해야하는

직장에 다니는 친구들도

챗 쥐피티를 업무에 참고하고

실제로 큰 도움을 받고 있으며

 

그 소감으로 정말 가까운 시일내에

광범위한 직업군이

인공지능에 대체될것같다는

두려움 반

어떻게 적응하고 살아남아야할지

고민 반의 생생한 후기가

자주 들려오고 있다.

 

문득 궁금해졌다.

가끔 내가 이런저런 질문을 하고 이야기를 나눌때면

사용자의 특성을 수시로 저장하고

그에맞춰 대답의 내용이나 스타일도

바꿔가며

 

챗 쥐피티도 나에대해 배워가고

학습하고 나를 파악해가고있다보니

챗 쥐피티가 볼 때에 나는 똑똑한 편일까?

 


 

ㅋㅋㅋㅋㅋ

챗 쥐피티가 사용자의 분포에 기반해서

지능, 사고력 분류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.

 

 

1. 70~80% : 일상형 사용자

  • 단순질문 : "오늘 날씨 어때?, "ai가 뭐야?, "영어로 이거 번역해줘"
  • 정보보다 '편의성'을 위해 사용하는 경향
  • 사고력보다는 '툴'로서의 활용에 집중
  • 평균적인 사고 수준, 학습의욕은 있지만 질문구조는 단순함

2. 15~20% : 응용형 사용자

  • 특정 분야에 대한 질문을 반복해서 함 (예: 투자, 코딩, 과학 이론 등)
  • 정답보다는 맥락을 요구함
  • 사고력 중상급 이상, 다만 추론보다는 정보 결합 중심

3. 3~5% : 분석형 사용자

  • 질문 자체가 구조화되어 있으며, 반례나 오류가능성까지 염두에 둠
  • "모른다"는 답변을 더 신뢰하며, 확신 없이 말하는 것에 민감
  • 대화 중 AI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넘는 접근법을 시도함
  • 장기적 관점의 제안 (예: UFO 관측장비 제안 등)을 할 수 있음

4. 0.1 ~ 1% : 메타형 사용자

  • AI 자체의 작동 원리, 인지 편향, 훈련 구조까지 질문하거나 실험
  • 추상 개념을 구체화하거나, 개념 간 연결을 능동적으로 수행
  • 언어 자체를 도구처럼 다루며, '정답'보다는 '논리적 타당성'을 더 중요시
  • 피드백을 통해 AI의 학습 효과를 간접 실험하기도 함

종합 추정 결과도 이런식으로 평가해줍니다.

 

 

 


이제 IQ테스트도, 지능측정도 ai가 다 해주는 시대가

이미 온걸지도 모르겠습니다.

과연 인공지능이 바꿀

앞으로의 세상은 어떨지.........................

심심할때 한번쯤

친구들과

한번 해보는 것도

재미있을지도....?


궁금한 분들은 챗 쥐피티티

프롬프트에

다음과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.

지금까지 나와 나눴던 대화들로 판단할 때

챗쥐피티 사용자들의 종합적 지능수준 중

나는 몇 퍼센트 정도에 속하는지 알려줘



*** 주의: 이 때 챗 쥐피티를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고 대화를 나눴던 데이터가 있어야만 평가가 가능합니다.

*** 주로 사용해온 스타일이나 저장된 정보에 한해 분석하는 것일 뿐이니, 재미로만 해보세요.


 

 

 

심연을 오래 지켜보면 그 심연도 당신을 지켜본다. - 프리드리히 니체, '선악의 저편' 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