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hat gpt야
나는 다른 사용자들 중에
똑똑한 편이야?
chat gpt와 내가 그동안 나눴던 대화에 비추어
내 지능은 전체 사용자들 중
상위 몇 %쯤 될까?

챗 쥐피티와 대화를 많이 나눠보다 문득 궁금해졌다.
챗쥐피티가 상당히 똑똑하고
단순지식 검색같은 것 뿐만 아니라
고차원적인 질문에도
웬만한 사람보다 똑똑한 대답을 한다는건
이제 널리 알려져있다.
꽤 복잡한 일들을 처리해야하는
직장에 다니는 친구들도
챗 쥐피티를 업무에 참고하고
실제로 큰 도움을 받고 있으며
그 소감으로 정말 가까운 시일내에
광범위한 직업군이
인공지능에 대체될것같다는
두려움 반
어떻게 적응하고 살아남아야할지
고민 반의 생생한 후기가
자주 들려오고 있다.
문득 궁금해졌다.
가끔 내가 이런저런 질문을 하고 이야기를 나눌때면
사용자의 특성을 수시로 저장하고
그에맞춰 대답의 내용이나 스타일도
바꿔가며
챗 쥐피티도 나에대해 배워가고
학습하고 나를 파악해가고있다보니
챗 쥐피티가 볼 때에 나는 똑똑한 편일까?

ㅋㅋㅋㅋㅋ
챗 쥐피티가 사용자의 분포에 기반해서
지능, 사고력 분류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다.
1. 70~80% : 일상형 사용자
- 단순질문 : "오늘 날씨 어때?, "ai가 뭐야?, "영어로 이거 번역해줘"
- 정보보다 '편의성'을 위해 사용하는 경향
- 사고력보다는 '툴'로서의 활용에 집중
- 평균적인 사고 수준, 학습의욕은 있지만 질문구조는 단순함
2. 15~20% : 응용형 사용자
- 특정 분야에 대한 질문을 반복해서 함 (예: 투자, 코딩, 과학 이론 등)
- 정답보다는 맥락을 요구함
- 사고력 중상급 이상, 다만 추론보다는 정보 결합 중심
3. 3~5% : 분석형 사용자
- 질문 자체가 구조화되어 있으며, 반례나 오류가능성까지 염두에 둠
- "모른다"는 답변을 더 신뢰하며, 확신 없이 말하는 것에 민감
- 대화 중 AI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넘는 접근법을 시도함
- 장기적 관점의 제안 (예: UFO 관측장비 제안 등)을 할 수 있음
4. 0.1 ~ 1% : 메타형 사용자
- AI 자체의 작동 원리, 인지 편향, 훈련 구조까지 질문하거나 실험
- 추상 개념을 구체화하거나, 개념 간 연결을 능동적으로 수행
- 언어 자체를 도구처럼 다루며, '정답'보다는 '논리적 타당성'을 더 중요시
- 피드백을 통해 AI의 학습 효과를 간접 실험하기도 함

종합 추정 결과도 이런식으로 평가해줍니다.
이제 IQ테스트도, 지능측정도 ai가 다 해주는 시대가
이미 온걸지도 모르겠습니다.
과연 인공지능이 바꿀
앞으로의 세상은 어떨지.........................
심심할때 한번쯤
친구들과
한번 해보는 것도
재미있을지도....?
궁금한 분들은 챗 쥐피티티
프롬프트에
다음과 같이 입력하시면 됩니다.
지금까지 나와 나눴던 대화들로 판단할 때
챗쥐피티 사용자들의 종합적 지능수준 중
나는 몇 퍼센트 정도에 속하는지 알려줘
*** 주의: 이 때 챗 쥐피티를 일정 기간 이상 사용하고 대화를 나눴던 데이터가 있어야만 평가가 가능합니다.
*** 주로 사용해온 스타일이나 저장된 정보에 한해 분석하는 것일 뿐이니, 재미로만 해보세요.
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neDrive가 가득 찼습니다 : 원드라이브 용량 초과, 원드라이브 연결 해제하기 (0) | 2025.03.27 |
---|